열기
열기

본문 영역

응급의료체계

응급의료체계의 역사적 배경

응급의료체계(EMSS: emergency medical services system)의 구축은 의학적인 측면에서 응급의료를 병원 밖으로 확대하는 것이고, 사회적으로는 사회보장 및 복지제도의 향상을 의미한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본다면 국민의 건강 및 안전에 대한 관심증대에 부합한 사회안전보장 및 복지정책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구축과 발전은 선진국에서와 마찬가지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잇따른 성공으로 얻어진 경제성장과 국민의 생활 및 의식수준의 향상, 그리고 끊이지 않는 대형사고와 재해의 경험 등이 가져다 준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하는 원칙과 목적은 유사하지만, 나라마다 기존의 사회-의료제도나 각기 다른 자연환경에 처해있어 그 나라만의 독특한 응급의료체계가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어떤 국가 혹은 특정 유형의 응급의료체계가 우위에 있다고 말하기 어렵고, 단지 개선과 발전을 위해 얼마나 노력하느냐가 중요하다.
응급의료체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적정규모의 지역에서 응급상황 발생시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인력, 시설, 장비를 유기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재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응급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현장에서 적절한 처치를 시행한 후, 신속하고 안전하게 환자를 치료에 적합한 병원으로 이송하고, 따라서 짧은 시간에 최상의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장출동 및 처치팀(119 구급대) 및 병원 응급의료팀 간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다.

응급의료체계의 구성과 활동단계
  • 1 시민의 신고 응급조치(citizen activation)
  • 2 신고접수 및 출동(dispatch)
  • 3 병원전 응급처치(prehospital care)
  • 4 병원처치(hospital care)
  • 5 재활(rehabilitation)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흐름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흐름을 병원 전단계와 병원 단계로 구분
응급의료체계의 운용단계

응급의료체계는 응급의료서비스가 제공되는 장소에 따라 크게 '병원전 단계'와 '병원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활동단계를 세분화하면 아래와 같다

병원전 단계 (Pre-hospital phase)
  • 1.환자발생의 신고와 구급차출동
  • 2.구급차가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 전화상담원(dispatcher)에 의해 이루어지는 응급처치요령의 지도
  • 3.구급대(응급구조사, 구급대원)에 의한 현장 응급처치
  • 4.정보ㆍ통신체계를 이용한 구급차-병원간의 정보교환으로 이송병원 결정,
    현장에서 병원까지 이송중에 이루어지는 이송처치
병원단계 (In-hospital phase)
  • 1.현장처치의 검토 및 연속적인 응급처치
  • 2.진단을 위한 적절한 검사
  • 3.입원치료(중환자실, 일반병실) 혹은 응급수술 결정
  • 4.환자의 응급처치에 필수적인 의료진이나 시설,
    장비가 준비된 전문응급센터 (외상,화상,독극물,심혈관센터 등)나
    응급의료기관으로 전원여부의 결정과 전원병원 결정
상단으로

Footer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