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 통계조사
응급의료 통계·연구(국가 응급의료체계 개선 및 질 향상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연구지원)
사업개요
사업배경 및 목적
- 응급의료와 관련된 정보 분석을 통하여 응급의료의 정책적 결정을 위한 사전정보 및 시행 과정의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의사결정을 지원
- 선진국형 응급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응급체계 전반의 개선 및 질 향상 관련 연구 수행
- 신뢰받는 응급의료를 위한 공공정보 개방 및 공유 실현
사업목표
사업내용
응급의료통계의 신뢰도 및 관리 체계개선 |
응급의료 연구 활성화 |
통계의 적시발간 및 신뢰도 향상 |
응급의료 관련 연구결과 보고서 발간 및 국내외 학술지 발표 강화 |
사업개요
법적근거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25조 1항 4호 : 응급의료 관련 연구
사업내용
사업내용
업무 |
범위 |
통계·조사 |
- 응급의료 통계연보 : 자료수집, 연보작성, 인쇄 및 배포
- 국가승인통계 : 응급의료 현황통계 작성 및 인쇄, KOSIS 공표
- 자체통계품질관리 : 개선과제이행, 자체통계품질진단수행
- 응급의료 서비스 평가 지표 : 지표산출 및 통계제공
- 대국민 응급의료서비스 만족도 조사
- 내·외부 데이터 제공
- 정책지원 관련 정보 생산
|
연구 |
- 응급의료 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과제 개발 및 제안
- 중앙응급의료센터 연구업무 지침 운영
- 내부 직원 연구실적 관리
- 연구과제 수행을 위한 연구그룹 구성 및 운영
- 내부업무 과제 해결을 위한 워킹그룹 구성 및 운영
- 응급의료 관련 내·외부 연구 지원
|
'19년도 추진실적
통계·조사 보고서 발간
19년도 추진실적
2018 응급의료 통계연보 |
2018 국가응급진료망(NEDIS) 통계연보 |
2018 응급의료 현황통계 국가통계 포털(KOSIS) 공표 |
-
2018년 12월 31일 기준 우리나라 응급의료에 관련된 자원과 전국 521개소의 응급실 이용자 현황에 대한 통계
- 응급의료자원: 시설, 인력, 이송 자원, 교육 현황
- 응급실이용자수: 지역별 이용자 현황
|
-
2018년 12월 31일 기준 전국의 센터급 이상 153개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응급진료 통계
- 전국, 지역별 응급실 이용자 수 현황, 주요 응급질환자 수 현황, 3대 응급질환 관련 현황, 이용자 주소지 현황 등 작성
|
-
국가승인통계(승인번호: 41101) 공표
- 응급의료 주요 통계
- 주요 응급질환자수 현황
- 3대 응급질환 관련 통계
- 응급의료 자원 현황
|
19년도 추진실적
2018 중증응급질환 응급실 내원 현황보고서 |
2018 지자체 응급의료 모니터링 지표 산출보고서 |
2019년 대국민 응급의료 서비스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
-
2018년 12월 31일 기준 전국의 센터급 이상 153개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28개 중증응급진료정보 통계
- 중증응급질환 구성, 진료현황
- 중증응급질환 전원, 진료결과 현황
- 중증응급질환 지역 이동경로
|
-
2018년 12월 31일 기준 지자체 응급의료시스템의 현황 파악 및 체계적 분석, 개선 방안 도출을 위해 지표 산출
- 현장, 병원 전, 1차 응급의료, 2차 응급의료, 병원 간, 재난대비 및 대응, 특수질환 단계별 현황
|
-
응급의료 서비스에 대한 국민들의 전반적인 인식, 이용행태, 요구사항 등에 대한 객관적인 의견 파악으로 정책적 기초자료 생성
- 응급의료 신뢰도, 응급의료제도
- 심폐소생술 경험 및 교육
- 구급차, 응급실 서비스
|
19년도 추진실적
2018 외상등록체계 통계연보 |
- |
- |
|
국가승인통계 자체통계품질관리 평가 (5년 연속 ‘우수’ 등급)
응급의료 관련 내·외부 요청자료 제공
연구
연구
응급의료 워킹그룹 운영 |
응급의료 연구그룹 운영 |
연구 수행 및 지원 |
- 지역중심 평가 질지표 환류방안 마련
- 응급의료 평가 개선
|
- 응급센터를 내원한 환자의 중증도 분류지표로서 KTAS의 타당도 검증
- 권역응급의료센터 확대가 응급의료 지역화에 미친 영향
- NEDIS 전송자료를 이용한 응급실 과밀화 예측 연구
- 전국 응급실 내원 후 사망환자의 분석 연구
- 중증응급질환별 공급대비 수요지표에 근거한 취약지 도출
- 2040년 장래인구 변화추계에 따른 응급의료수요 변화 예측
- 기후변화와 중증응급질환자의 응급실 내원 상관관계 분석
|
- 권역외상센터 설립 이후 지역별 외상사망환자 변화고찰
- 보건소 신속대응반 재난의료대응 역량강화 프로그램 및 평가 도구 개발
- 응급의료기관 평가가 응급의료 질에 미치는 영향
|
연구
학술대회 발표 |
외부기관 연구수탁 수행 |
위탁 연구용역 발주 및 관리 |
- 응급실 기반 감염병 자료 자동수집 및 분석시스템 구축 전략 연구
- 최근 5년간(2014-2018) 응급실 내원환자 예측 연구
- National Outcomes of Surgically and Interventionally Treated Acute Aortic Disease
- 최근 5년간(2014-2018) 중증응급질환자와 기후 요소와의 연관성 연구
- 응급실에 내원한 고령 교통사고 환자의 특성
-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a Disaster Medical Assistance Manual Based on the Results of Disaster Medical Assistance Education Program(Crisisonomy, 2019, vol.15, no.7, 67-86)
|
-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연구개발 사업단 ‘감염병 조기경보를 위한 통합 감시체계 설계와 시스템 개발 연구 컨소시엄 참여
- 보건복지부 ‘자동심장충격기 적정 배치 및 효과적 관리방안 연구’ 컨소시엄 참여
|
- 취약지 응급원격협진 네트워크사업 결과평가 및 효과성 검증
- 중증응급질환 지역네트워크사업 성과평가 및 개선방안 마련
|
'20년도 추진계획
추진방향 1: 믿을 수 있는 정보 생산으로
정책적 의사결정 지원
전략목표
- 자체통계품질 개선을 위한 지속적 노력
- 응급의료 단계별 타당성 있는 지표 선정
- 응급의료 분야별 신뢰성 있는 조사 강화
세부사업
- 2019 응급의료 통계연보 발간
- 2019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 통계연보 발간
- 2019 응급의료 현황통계 국가통계포털(KOSIS) 공표
- 2020 대국민 응급의료서비스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 2019 중증응급질환 응급실 내원 현황보고서 발간
- 2019 지자체 응급의료 모니터링 지표 산출보고서 발간
- 자체통계품질 개선 활동 수행
- 내·외부 응급의료 관련 요청자료 제공
- 2019 외상등록체계 통계연보
추진방향 2: 연구기능 강화 및 근거기반의
응급의료 정책결정 지원
전략목표
- 응급의료 관련 대내외 연구 수행의 활성화
- 응급의료정책의 근거제공을 위한 연구결과 발표 등 저변 확대
- 전략적 연구과제 기획 및 수행
세부사업
- 중앙응급의료센터 연구업무 지침 현행화
- 정기 응급의료정책연구 소식지 발간
- 정기 연구제안서 공모 시행
-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연구소 내부 연구 공모 및 수행
- 관련학회와의 학술 교류 기회 증대
- 외부 연구 수행
- 연구그룹 및 워킹그룹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