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25조 1항 2호 : 응급의료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
구분 | 현장응급의료종사자 전문화 교육 | 응급의료지도의사 양성 | 응급의료관리 전문과정 | 취약지역 응급의료기관 종사자 교육 |
---|---|---|---|---|
대상 | 현장에 근무하는 응급의료종사자 |
|
응급의료기관 종사자 (의사, 간호사, 응급구조사) |
취약지역 응급의료기관 종사자 |
운영기관 | 40개 교육기관 | 응급의학연구재단 | 중앙응급의료센터 |
|
사업기간 | 4월 ~ 11월 | 1월 ~ 12월 | 4월 ~ 11월 | 4월 ~ 10월 |
사업내용 |
|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인증 | 응급의료전반 |
|
구분 | 계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
교육과정(회) | 107 | 19 | 25 | 13 | 11 | 21 | 18 |
참석자(명) | 2,303 | 433 | 527 | 268 | 225 | 477 | 373 |
수료자(명) | 2,222 | 411 | 500 | 263 | 225 | 466 | 357 |
구분 | 교육일자 | 장소 | 참석인원(명) |
---|---|---|---|
심포지엄 | 9.10(화), 9.17(화) |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 44 |
워크숍 | 10.16(수), 10.23(수) |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 37 |
현장교육 | 11.1(금)∼11.26(화) | 해당 지역 소방서/안전센터 및 상황실 | 37 |
구분 | 교육일자 | 장소 | 참석인원(명) |
---|---|---|---|
1차 | 11.12(화) | 대구(인터불고) | 135 |
2차 | 11.18(월) | 서울1차(코엑스) | 145 |
3차 | 11.26(화) | 서울2차(백범김구회관) | 119 |
4차 | 11.29(금) | 광주(김대중컨벤션센터) | 122 |
합계 | 525 |
구분 | 교육일자 | 참석인원(명) | 수료인원(명) | 비고 | |
---|---|---|---|---|---|
의사 | 1차 | 11.13(수)∼14(목) | 37 | 35 | 대구 |
2차 | 11.19(수)∼20(수) | 43 | 43 | 서울 | |
계 | 80 | 78 | 수료율 97.5% | ||
간호사 및 응급구조사 | 1차 | 4.25(목) | 30 | 29 | 서울 |
2차 | 4.30(화) | 53 | 53 | 광주 | |
3차 | 5.17(금) | 76 | 76 | 대구 | |
4차 | 5.31(금) | 34 | 34 | 강원 | |
5차 | 6.7(금) | 50 | 50 | 대전 | |
6차 | 6.21(금) | 39 | 39 | 서울 | |
7차 | 9.6(금) | 66 | 47 | 전남 | |
8차 | 9.20(금) | 51 | 46 | 대구 | |
9차 | 10.11(금) | 36 | 31 | 강원 | |
10차 | 10.25(금) | 50 | 43 | 대전 | |
계 | 485 | 448 | 수료율 92.4% | ||
합 계(명) | 565 | 526 | 수료율 93.1% |
연번 | 교육과정명 |
---|---|
1 | 호흡기계 응급 질환의 이해와 처치 |
2 | 소아 응급 질환과 손상의 이해와 처치 |
3 | 신경계 응급 질환의 이해와 평가 |
4 | 심혈관 응급 질환의 이해와 평가 |
* 단, 간호사는 「호흡기계 응급 질환의 이해와 처치」를 제외한 교육 신청 가능
- 과정 별 총 4∼5시간(이론
2시간/실습 2∼3시간)의 교육
- 과정 별 1회 교육정원은 24명
구분(교육수) | 강사구분(명) | 자격(해당교육일 기준) |
---|---|---|
전체 | 이론강사(1) | - 응급의학과 전문의 |
호흡기계/소아/ 심혈관 응급 질환의 이해와 평가 교육(3) | 실습 주강사(1) | - 응급의학과 전문의 또는 전공의 3년 차 이상 - 임상경험 3년 이상의 1급 응급구조사, 간호사 중 강사과정* 수료한 자 |
실습보조강사(2) | - 응급의학과 전공의 3년 차 이상 - 임상경험 1년 이상의 1급 응급구조사, 간호사 중 강사과정 수료한 자 |
|
신경계 응급 질환의 이해와 평가 교육(1) | 실습 주강사(1),보조강사(2) |
- 응급의학과 전공의 3년 차 이상 - 최근 3년 내 강사과정을 수료하고, 관련 교육의 모니터 과정**을 진행한 자(또는 최근 1년 이내 해당 교육의 실습강사 활동 경력자) |
* 강사과정: 교육 운영 전 실습강사가 수료해야 하는 필수 교육과정
** 모니터 과정: 타 교육기관 강의 참석 후
시험을 통과하고, 이수 결과 중앙응급의료센터로 회신
위탁기관 | 중앙센터 |
---|---|
o 교육프로그램 위탁 운영 계획 수립 o 위탁 운영(신규, 재교육) - 교육생 사전 수요조사 - 교육생 모집 및 교육진행 o 산출결과물 제출 및 인증서 발급 |
o 교육과정 위탁 사업 연구용역 발주 o 관리감독 및 현지점검 o 산출물 확인 o 교육수료결과 취합 o 기타 사업관리 |
주 제 | 내 용 |
---|---|
’18∼’22년 응급의료 기본계획 | - 현장·이송 단계, 병원(응급실, 전문진료) 단계, 응급의료 기반 영역별 과제 관련 |
응급의료체계 개선 방향 | - 응급의료체계 개선방향 관련 - 현장·이송 단계, 병원 단계, 응급의료기반 단계의 분과별 주요 논의 및 방안 공유 |
응급의료에 관한 법규 | - 응급의료에 관한 법규와 행정지침 |
응급실의 운영 | - 응급(중)환자 병원 간 전원 관련 - 응급(중)환자 이송 관련 유관기관(소방 등) 소통 관련 - 응급의료기관 평가 및 정보체계 |
재난의료 | - 우리나라 재난관리체계 - 병원 내·외 재난 의료대비 및 대응 |
의료사고 사전예방 | - 응급실 의료사고 사례 및 예방법 등 - 치료불가, 성폭력, 자살 등 특수 환자의 대응 - 폭력, 감염관리 등 예외사항 처리 |
연 번 | 내 용 | 연 번 | 내 용 |
---|---|---|---|
1 | 응급 심혈관 질환(부정맥 ECG판독 포함) | 6 | 응급 복통 질환(CT 판독 포함) |
2 | 응급 폐질환(흉부 CT판독 포함) | 7 | 응급실에서 만나는 소아 처치 |
3 | 응급 뇌질환(뇌CT 판독 포함) | 8 | 응급실에서 흔히 접하는 사지 손상의 처치 |
4 | 응급 초음파의 실례 및 적용 | 9 | 응급실에서 흔히 접하는 중독 환자의 체계적 접근 및 치료 |
5 | 응급실에서 접하는 위험한 심전도 | * | 핵심 환경손상 사례 토의 등 |
   - 간호사 및 응급구조사 대상 교육 : (상반기) 6회(100명/회) 교육 수행, (하반기) 교육프로그램 개편
연 번 | 내 용 | 연 번 | 내 용 |
---|---|---|---|
1 | 응급환자 초기사정 | 6 | 응급실 감염관리의 이해 |
2 | 중증도 분류의 이해(KTAS) | 7 | 응급실 간호기록의 이해 |
3 | 전문심폐소생술의 이해 | 8 | 다양한 응급상황 대처방법 |
4 | 외상응급환자 관리 | 9 | 응급의료 취약지와 원격협진 |
5 | 전문외상소생술의 이해 | * | 교육 이론 평가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