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25조제1항제2호: 응급의료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
구분 | 현장응급의료종사자 전문화 교육과정 | 응급의료지도의사 양성과정 | 응급의료관리 전문과정 | 취약지역 응급의료종사자 교육 |
---|---|---|---|---|
대상 | 119구급대, 민간이송업, 응급의료기관 등의 현장 응급의료종사자 |
응급의학과 전문의
3·4년차 전공의 |
응급의료기관 소속 의사, 간호사, 응급구조사 등 | 취약지역 응급의료기관 종사자 |
운영기관 | 중앙응급의료센터 38개 권역응급의료센터 |
응급의학연구재단 | 중앙응급의료센터 |
(의사)응급의학연구재단
(간호사)중앙응급의료센터 |
사업기간 | 3월 ~ 11월 | 3월 ~ 10월 | 3월 ~ 10월 | 6월 ~ 12월 |
사업내용 | 호흡기계 응급질환의 이해와 평가 등 7개 온-오프라인 병행 과정 운영 | 교육과정 운영 및 지도의사 이수 인증 | 응급의료전반에 대한 온라인 교육 운영 | 전문응급처치 교육 및 업무 활용도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연번 | 교육과정명 | 연번 | 교육과정명 |
---|---|---|---|
1 | 호흡기계 응급 질환의 이해와 처치 | 4 | 현장전문심폐소생술의 원리와 방법 |
2 | 소아 응급 질환과 손상의 이해와 처치 | 5 | 심혈관 응급 질환의 이해와 평가 |
3 | 통증·외상 평가와 전문외상처치술 | 6 | 신경계 응급질환의 이해와 평가 |
연번 | 주제 | 강사 | 비고 |
---|---|---|---|
1 | 민간 이송의 법적 근거와 이송업무 종사자의 주의의무 1 | 조아라법률사무소 조아라 | 온라인 교육 |
2 | 구급차 내 심폐소생술 | 아산충무병원 신태용 선문대학교 노상균 |
|
3 | 구급차의 감염 관리 | 순천향대학교병원 김한빛 | |
4 | 이송 중 사용되는 약물과 관리 | 전북대학교병원 김소은 | |
5 | 재난 상황에서의 환자 이송 | 충남대학교병원 강창신 | |
6 | 민간 이송의 법적 근거와 이송업무 종사자의 주의의무 2 | 순천향대학교병원 정동길 |
오프라인 교육 |
7 | 응급환자의 기도 감시 및 관리 | 동탄한림대학교병원 김솔아 |
|
8 | 외상 / 쇼크 환자의 감시 및 이송 | 가천의과대학교병원 장재호 |
|
9 | 이송과 관련된 법적 문제 | 시뮬레이션 | |
10 | 이송 중 응급 상황 대처와 인수인계 | ||
11 | 응급환자 기도관리 |
구분 | 교육일자 | 교육방법(장소) | 수료인원(명) |
---|---|---|---|
심포지엄 | ’20. 9. 23.(수) | 온라인 교육(화상회의) | 46 |
워크숍 | ’20.10.16.(금), 10.23.(금) | 온라인 교육(화상회의) | 45 |
현장실습 | ’20.11. 9.(월)∼11.27.(금) | 상황실 견학 및 구급차 동승(소방서) | 45 |
필기시험 | ’20.12.22.(화) | 실시간 온라인 시험 | 44 |
연번 | 교육 주제 | 차시 | 주요 내용 |
---|---|---|---|
1 | ’18∼’22년 응급의료 기본계획 | 3 | - 현장·이송 단계, 병원(응급실, 전문진료) 단계, 응급의료 기반 영역별 과제 관련 |
2 | 응급의료에 관한 법규 | 5 | - 응급의료에 관련한 법규와 행정지침
- 응급의료법, 도로교통법, 119구조구급법 등 - 응급의료종사자 신고 의무사항 및 방법 |
3 | 응급실의 운영 | 2 | - 중증도 분류 및 대처: KTAS 소개
- 응급(중)환자 병원 간 전원 관련 |
4 | 재난의료 이해 | 3 | - 우리나라 재난관리체계
- 병원 내·외 재난 의료대비 및 대응 |
5 | 응급실 사고 예방 | 3 | - 응급실 의료사고 사례 및 예방법 등
- 치료불가, 성폭력, 자살 등 특수 환자의 대응 - 폭력, 감염관리 등 예외사항 처리 |
6 | 응급의료수가 | 2 | - 수가와 급여기준, 심사의 이해,
- 건강보험수가와 응급의료수가 |
연번 | 주제 | 연번 | 주제 |
---|---|---|---|
1 | 응급환자의 초기사정 | 5 | 환경적 응급상황 간호 |
2 |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 | 6 | 응급실 감염관리 |
3 | 심폐소생술환자 간호 | 7 | 응급전원협진의 이해 |
4 | 응급외상환자 간호 | 8 | 응급의료 취약지역 지원 정책사업 이해와 활용 |
연번 | 내용 | 연번 | 내용 |
---|---|---|---|
1 | 호흡기계 응급 질환의 이해와 처치 | 5 | 심혈관 응급 질환의 이해와 평가 |
2 | 소아 응급 질환과 손상의 이해와 처치 | 6 | 신경계 응급질환의 이해와 평가 |
3 | 현장전문심폐소생술의 원리와 평가 | 7 | 이송업무 종사자 교육(간호사, 응급구조사) |
4 | 통증·외상 평가와 전문 외상 처치술 | 8 | 이송업무 종사자 교육(구급차 운전자, 온라인) |
구분 | 교육회수 | 교육시간 | 교육방법 |
---|---|---|---|
심포지엄 | 2회 | 8시간 | 이론 집합교육(1회 선택 참여) |
워크숍 | 2회 | 4시간 | 실습 집합교육(1회 선택 참여) |
현장교육 | 약 2개월간 | 28시간 | 개별 실습(상황실 견학 및 구급차 동승) |
연번 | 내용 | 연번 | 내용 |
---|---|---|---|
1 | ’18∼’22년 응급의료 기본계획 | 4 | 재난의료 이해 |
2 | 응급의료에 관한 법규 | 5 | 응급실 사고 예방 |
3 | 응급실의 운영 | 6 | 응급의료수가 |
연번 | 내용 | 연번 | 내용 |
---|---|---|---|
1 | 호흡기계 응급 질환의 이해와 처치 | 5 | 심혈관 응급 질환의 이해와 평가 |
2 | 소아 응급 질환과 손상의 이해와 처치 | 6 | 신경계 응급질환의 이해와 평가 |
3 | 현장전문심폐소생술의 원리와 평가 | 7 | 이송업무 종사자 교육(간호사, 응급구조사) |
4 | 통증·외상 평가와 전문 외상 처치술 | 8 | 이송업무 종사자 교육(구급차 운전자, 온라인) |
연번 | 내용 | 연번 | 내용 |
---|---|---|---|
1 | 응급 심혈관 질환 | 6 | 응급 복통 질환(CT 판독 포함) |
2 | 응급 폐질환(흉부 CT판독 포함) | 7 | 응급실에서 만나는 소아 처치 |
3 | 응급 뇌질환(뇌CT 판독 포함) | 8 | 응급실에서 흔히 접하는 사지 손상의 처치 |
4 | 응급 초음파의 실례 및 적용 | 9 | 응급실에서 흔히 접하는 중독 환자의 체계적 접근 및 치료 |
5 | 응급실에서 접하는 위함한 심전도 | * | 핵심 환경손상 사례 토의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