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헬기
응급의료의 수혜격차를 해소하고 응급환자의 사망과 장애 감소에 기여
사업개요
사업배경 및 목적
- 중증응급환자는 신속한 응급처치와 역량 있는 의료기관으로 이송이 필요하나 수도권 및 대도시 중심으로 응급의료 자원 집중되어 있음
- 도서·산간지역을 중심으로 전문 의료진이 탑승하여 중증응급환자를 이송하는 응급의료 전용헬기를 도입하여 운용함으로써 응급의료의 수혜격차를 해소하고 응급환자의 사망과 장애 감소에 기여
사업목표
- 1) 신속한 응급의료의 제공
- 실시간 출동결정 ⇒ 5분 내 출동, 30분 내 현장 도착
- 2) 현장에서부터의 전문응급의료 서비스 제공
- 전문의에 의한 현장 및 이송 중 처치
“ Patient To E·R → E·R To Patient “
- 3) 안전한 항공이송체계 구축
사업개요
법적근거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46조의 3(응급의료 전용헬기)
- 범부처 응급의료헬기 공동운영 규정(국무총리훈령)
사업내용
운항대상
중증외상, 심뇌혈관질환 등 응급수술(시술)이 필요한 환자
운항범위
배치병원으로부터 운항 가능거리 내 (100Km 내외)
운항시간
365일 일출시각 ~ 일몰시각 운용 (야간제외)
운항지역
인천, 전남, 강원, 경북, 충남, 전북
출동체계도
- 출동결정 : 닥터헬기 출동요청 접수 시 3인(의사, 기장 및 운항관리사) 승인에 의한 실시간 출동결정
'20년도 추진실적
'19년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용실적
- 총 1,823회 출동(이송건수: 1,703건, 이송환자수: 1,707명)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용 실적
지역 |
계 |
인천 |
전남 |
강원 |
경북 |
충남 |
전북 |
출동건수(건) |
1,823 |
194 |
362 |
289 |
347 |
354 |
277 |
상·하반기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용실태 및 출동 점검(6월, 11~12월)
-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용지침 준수사항 점검(임무대기, 운용절차, 장비·비품 관리 등)
- 하절기 및 동절기 대비 운영 계획 등 안전 점검
- 항공안전사고 예방 활동 및 보안시설 점검
- 지역별 주요 인계점 관리 상태 점검
응급의료 전용헬기 안전 관리
- 설·추석 연휴기간 대비 안전점검 실시(1월, 9월)
- 2개 항공사 본사 점검(헬리코리아, 유아이헬리제트)
- 지역별 불시 임무대기 점검(가상 출동요청 대응 점검)
- 연휴기간 중 온콜 당직 및 관계기관 비상대응 체계유지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항관리시스템 유지 관리(8~12월)
- 통계 산출 및 NEDIS 연계 강화, 사용 편의성 및 오류 사항 개선 등
닥터헬기 맞춤형 항공지도 제작 지원('20.2.~10.)
- 국민디자인팀 참여(주관: 국토교통부 인천항공교통관제소, 참여: 보건복지부, 소방청, 중앙응급의료센터, 3개 운항사)
- 인계점, 이·착륙장, 장애물(송전탑, 선로 등) 정보 등 수록 및 제작 배포
응급의료 전용헬기 탑승자 집체교육 실시(11월)
- 일정 및 교육기관: '20.11.5.(목) ~11.6.(금),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 교육대상: 6개 지역 신규 운영인력(기장, 의료진, 운항관리사 등) 33명
- 교육내용: 이론(지침, 운항관리시스템, 비품 관리 등), 실습(기본소생술, 테이블 시뮬레이션 등)
'21년도 추진계획
응급의료 전용헬기 이송 데이터 관리 및 성과 분석
- 응급의료 전용헬기 이송 데이터 충실도 관리 체계 마련
-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용 성과 분석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용실태 및 출동점검
- 상·하반기 관계기관(보건복지부, 지자체 등) 합동 운용실태 점검
- 지침준수 여부, 항공기 보안시설 및 지역인프라 운영 현황 등 운용 전반 점검
응급의료 전용헬기 인계점 관리 지원
- 인계점 안내판 제작 및 설치 지원(배치 시·도 수요조사)
- 주요 인계점 현황 조사 및 관리
응급의료 전용헬기 항공의료팀 교육·훈련
- 기존 신규인력 대상 탑승자 집체 교육 지속 운영(상·하반기)
- 전체 항공의료팀원 대상 정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항관리시스템 관리
- 운항관리시스템 안정적 운영을 위한 유지 관리('21.1~12월)
범부처 응급의료헬기 공동 운영체계 지원
- 응급의료 전용헬기 관련 정보 공유
- 출동기준, 운용시간, 기종 및 보유장비 정보, 탑승 가능 환자 정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