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사업
응급의료 모니터링 체계 구축·운영
사업개요
사업배경 및 목적
사업배경
- 한정된 응급의료 자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응급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응급의료와 연관된 공공데이터를 집약하여 빅데이터 기반의 분석체계 확보 필요
- 분절된 단위의 형태로 수집되는 응급의료와 관련된 자료를 환자단위의 형태로 재생산함으로써 중증응급환자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병원간 전원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적절한 최종치료 제공을 강화하고자함
- 정보와 근거에 기반하여 국가안전체계에서 응급의료의 역할을 구체화하고 관련 부처와의 협조체계를 구축하기 위함
사업목적
- 응급의료 모니터링 체계 구축으로 응급의료 수요 공급 파악, 중증응급환자 이동경로 추적, 국가 안전체계에서 응급의료의 역할 구체화
사업개요
법적근거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 13조(응급의료기본계획 및 연차별 시행계획)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5조2(자료의 범위 등)
모니터링 시스템 주요서비스
통합정보
지자체(시도)별, 권역별, 응급의료기관별 기본정보와 의료자원, 환자내원 현황 등 집계 제공
현황통계
의료자원, 응급전용헬기 이송현황, 119구급이송 현황, 응급실 이용현황, 외상센터 이용현황, 민간구급차 이용 현황, 중증질환 이용 현황 등 통계 제공
주요지표
국가 및 지자체의 병원 전 단계, 병원단계, 재난대비 현황 등의 응급의료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표 결과를 상시 제공
감시체계
응급실 내원환자의 증상, 질환, 개방형, 위기지원 감시체계 제공
NEDIS 전송현황
각 응급의료기관 NEDIS담당자들의 질관리를 위해 해당기관 응급실 내원환자 현황 제공
'20년도 추진실적
- 응급의료 통합 DW 운영
- 응급의료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및 개선
- 응급의료 모니터링 시스템 이용자 확대(’20.12)
- 응급의료 모니터링 지표 개선 및 신규 개발(’20.12)
'21년도 추진계획
- 응급의료 통합 DW 운영 및 외부 데이터 연계 확대 지속
- 응급의료 모니터링 시스템 기능 개선 및 고도화
- 감염병 등 응급의료 관련 실시간 감시체계 확대 및 고도화
- 응급의료 데이터 품질관리 시스템(DQM) 기능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