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응급의료상황실
재난대응체계 강화 및 중증응급환자의 안전 강화
사업개요
사업배경 및 목적
- (배경) 재난의료 관련 기관 간 상황전파, 협조, 지원요청 등의 지연 및 병원 간 이송환자의 취약성
- (목적) 대규모 다수 사상자 발생 시 신속한 상황전파 및 초기 의료대응을 통합·조정함으로써 사망과 장애 최소화 및
다수의 응급의료기관을 전전하는 비수용·미해결 중증응급환자의 발생 최소화
사업목표
재난대응체계를 강화하여 재난 발생 시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신속한 의료대응체계 마련
재난사고 발생 접수부터 의료대응 개시
'18년 18.7분 → '19년 18분 이내
* 상황실 재난접수로부터 재난의료지원팀 출동요청 소요시간
중증응급환자의 최종치료시간 단축 및 재전원율 감소
전원조정 성공률 '18년 91.7% → '19년 98% 이상
* 전원조정 성공률 = {선정성공 / (총 접수건수 - 접수취소건수- 비선정(자체결정))} × 100
전원조정 30분 이내의 전원 성공률 '18년 76.0% → '19년 78.0% 이상
* 전원조정 30분 이내 전원 성공률 = (30분 이내 선정성공 / 총 선정성공) × 100
사업개요
법적근거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18조 1항, 제25조 1항 5,7호 : 환자가 여러 명 발생한 경우의 조치, 국내외 재난 등의 발생 시 응급의료 관련 업무의 조정 및 그에 대한 지원, 그 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응급의료 관련 업무
*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과-2812호(2014.06.18.) 24시간 중앙응급의료상황실 설치 및 운영
재난의료 상황업무 전파체계
병원 간 전원 상황업무 추진체계
사업내용
중앙응급의료상황실 운영사업 내역
업무 |
업무범위 |
사업대상 및 이해관계자 |
중앙응급의료상황실 운영 |
- 24시간 재난상황 감시 및 대응
- 중증응급환자 병원 간 전원 조정 업무
- 응급의료자원정보(병상, 중증응급질환) 모니터링
- 24시간 응급의료상황 감시 및 조정 지원
|
|
'19년도 추진실적
재난상황 감시 및 대응
재난 발생 시 DMAT 출동 및 재난 의료대응(상시)
전원조정 업무
중증응급환자 병원 간 전원조정(상시)
응급의료자원정보 모니터링
- 실시간 병상정보 및 중증응급질환 수용가능정보 모니터링(상시)
- 중증질환 환자 정보이용현황 모니터링(상시)
응급의료상황 감시 및 조정
- 중증응급질환 지역네트워크 운영 사업 지원
- 급성중독환자 치료지원사업 지원
- 취약지 영상협진센터 운영 사업 지원
- 응급전원협진망 운영 지원
- 그 외 상황실 지원 필요사업 등
'20년도 추진계획
- 재난 또는 다수사상자 사고 발생 시 능동적 상황 인지 방안 마련
- 관계기관 협조체계 강화, 재난상황 대비 및 실시간 정보 자동공유 시스템 구축 방안 마련
- 현장의료대응 사례 자체 점검제도 마련
- 중앙응급의료상황실 전원처리 결과 미해결, 재전원 사례관리
- 전원조정 업무 관련 의료기관 자원 정보의 일치율 제고
- 중앙응급의료상황실 업무 근거 확보를 위한 법제화 추진 지속
- 표준화된 업무 수행을 위한 상황별 대응지침 마련
- 업무공유 및 협조체계 강화를 위한 관련 부서 간 회의 정례화
- 중앙응급의료상황실 상황관리시스템 개선 및 전문성 강화
- 중앙응급의료상황실 응급의료정보제공 안정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