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사업
중증외상 전문진료체계 구축 사업
사업개요
사업배경 및 목적
- (배경) 보건복지부는 중증외상환자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개선을 위해 「권역외상센터 설치지원 사업」을 통하여 17개 시도에 외상센터를 균형 배치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함
- (목적) 중증외상환자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과 장애의 감소 도모
목표 |
▶ 전국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 30.5%(’15) → 19.9%(’17) 위원회 활동 등
▶ 권역외상센터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 21.4%(’15) →15.9%(’17) →10%(’25)
|
사업목표
* 2025년 보건복지부 목표
사업개요
법적근거
추진체계
사업내용
사업 절차
권역외상센터 설치지원 사업 및 권역외상센터 관리
권역외상센터 17개소(미개소 2개소/ ’20년 12월 말 기준)
- 권역외상센터 자원(시설, 인력, 장비) 적정 운영 관리
- 권역외상센터 개소 지원 및 사업계획 이행관리
- 전담·지원전문의 인건비 집행 적정성 관리
- 외상위원회 관리(시설, 장비, 인사위원회, 평가위원회, 평가실무소위원회)
-
권역외상센터 평가 및 질 관리
- 평가 계획 수립 및 시행
- 평가 및 급여 지표 관리 및 개발
- 평가위원회 및 현지평가단 관리
- 정기 평가 및 수시 점검
-
구분 |
내용 |
정기점검 |
필수영역, 의무기록 선별조사, AIS 코딩 및 외상등록체계 신뢰도, 위원회 및 교육 활동 등 |
수시점검 |
시설장비 전용여부, 외상팀 구성 및 활성화, 외상 핫라인 |
외상학 세부전문의 수련 지원 사업(3개소)
질 관리
- 질 향상 모니터링 분석 및 환류
-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패널 리뷰 교육
- 질 향상 워크숍 시행
외상에 관한 국가 연구사업 등 연구용역 관리
중증외상환자 진료체계 홍보사업
외과계전공의 등 전문외상교육 교육비 지원 사업 관리
기타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시하는 외상 의료 관련 업무
'20년도 추진 실적
권역외상센터 및 외상수련기관 관리
- 최종 지정 현지점검(제주한라병원, 3월)
- 17개 권역외상센터 기본사업계획 변경 심의 등 관리
- 연간사업계획 관리(권역외상센터 17개소 및 외상수련기관 2개소)
권역외상센터 및 외상수련기관 관리
- 최종 지정 현지점검(제주한라병원, 3월)
- 17개 권역외상센터 기본사업계획 변경 심의 등 관리
- 연간사업계획 관리(권역외상센터 17개소 및 외상수련기관 2개소)
권역외상센터 평가 및 질 관리
- '20년 평가: 수시점검(1회) 및 정규 평가(1회)
- (수시점검) 현지점검 1회 및 외상 전용 핫라인 점검
- (정규평가) 서면 평가 및 자동산출
- ※ 코로나-19 대응 및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에 따른 현지점검 미시행
중증외상환자 진료체계 홍보
- 공익광고 송출(라디오, 유튜브 등) 및 홍보 콘텐츠 제작
외상 관련 연구용역 관리
- 지역외상체계구축 시범사업 3개소 수행
- 강원도(2차 년도), 인천 및 제주(1차 년도)
- 한국형 외상진료 질 관리 개선을 위한 지침 개발 연구용역 2차 년도(대한외상학회)
외과계 전공의 등 전문외상교육 교육비 지원 사업
- 외상교육인증위원회 위촉 및 개최(4회)
- '20년 교육비 지원 사업 확정
- 2개 교육KTAT(한국형 전문외상처치술), ESPIT(외상필수술기교육)
- '21년 교육비 지원 사업 확정
- 기존 2개 및 신규 3개 교육 (아주외상소생술(ATRC), 중증외상처치교육(ELS-T), 외상필수술기교육-기본(BESPIT))
'21년도 추진 계획
권역외상센터 및 외상수련기관 관리
- 권역외상센터 (17개소) 및 수련기관 (3개소) 지속 관리
- 권역외상센터 및 외상수련기관 운영지침 개정
권역외상센터 평가 및 질 관리
- '21년 평가 시행 및 '22년 평가 계획 수립
- 의료기관 질 관리 강화를 위한 모니터링 및 환류 강화
- 예방가능한 외상사망 패널 리뷰 교육 시행
중증외상환자 진료체계 홍보
- 공익광고 및 리플릿 제작 등 홍보 방법 다각화 모색
외상 관련 연구용역 관리
- 지역외상체계 구축 시범사업 지속 수행
- 강원도 3차 년도, 인천 및 제주 2차 년도(신규 선정 없음)
외과계 전공의 등 전문외상교육 교육비 지원 사업
- 교육비 지원 ’교육 과정 및 대상’ 확대(외상 간호, 특수 외상 등 교육 과정 확대)
- ’교육 과정 만족도 조사’ 개발 및 시행을 통한 질 관리 수행